불교박람회
  • Facebook
  • Instagram
  • Youtube
붓다아트페어
  • Facebook
  • Instagram

[스테디] 이이화의 이야기 한국불교사

18,000 구매하기(구매처링크)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

좋아요

상세정보

‘역사를 가장 쉽게 풀어내는 재야학자’ 이이화의 저서. 우리 불교사를 한국사 전체의 틀에서 통사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며 특유의 이야기체로 풀어냈다. 그리하여 그동안 어렵고 멀게만 느겨졌던 불교사를 한층 가까이 느낄 수 있다. 이는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이자 목적이라 할 수 있다. 불교는 우리 역사 속에서 문화와 사상의 측면은 물론 정치, 경제에 이르기까지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며 중요한 위치를 점해왔다. 저자는 그런 불교의 역사를 삼국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사 흐름 속에서 조명함으로써 한국불교사의 거의 모든 장면을 꾸밈없이 기록하고 있다.

불교사는 한국사에서 무시할 수 없는 맥락이다. 불교사는 처음 전래되었던 삼국시대부터 지금까지 계속 기록되어 오고 있지만 주로 사상, 인물, 문화재 등에 초점 맞춰져 왔거나 학술적으로 다루어져 일반 대중들이 접근하기에 한계가 있었다.
저자는 이 책에서 불교를 역사적 실체로 바라보고 1,600여 년 불교사를 우리의 역사와 떼어 놓지 않는다. 더불어 저자는 우리 불교사의 명과 암을 꾸밈없이 제시한다. 그동안 민중의 삶에 깊은 애착을 지녀온 저자의 역사관으로부터 불교사의 그러한 점을 더욱 명확히 볼 수 있다. 저자는 이 책을 ‘과거를 반성하는 자료’로 썼다고 고백한다. 이는 저자의 불교에 대한 애정을 드러낸 말이기도 하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의 내용은 한국불교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진심어린 조언이다.

 

<저자 소개>

 

이이화

지은이는 1937년 대구에서 유학자인 야산(也山) 이달(李達) 선생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 부친을 따라 대둔산에 들어가 한문 공부를 했으며, 청년기에는 민족문화추진회·서울대 규장각 등에서 근무하며 한국학 연구에 전념했다. 이어 역사문제연구소장·『역사비평』 편집인으로 활동하면서 한국 근현대사 연구에 힘을 기울였으며, 특히 ‘동학농민전쟁 100주년 사업’을 주도하여 이를 학문적으로 재평가하고 대중적으로 알리는 데 크게 공헌했다. 이와 함께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이사장 등을 맡아보면서 서울 종로에 전봉준 동상 건립을 이루었다. 또한 민족문제연구소 식민지역사박물관 건립위원장을 맡아 지난 2018년 개관하였다. 서원대 석좌교수를 지냈고, 원광대에서 명예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동안 민족사ㆍ생활사ㆍ민중사 연구에 열정을 쏟았으며, 오늘의 관점에서 역사 인물을 재평가하는 인물 탐구에 주력했다. 이를 통해 일반인들이 우리 역사를 재미있고 친근하게 접근할 수 있게 하여 역사 대중화에 앞장서 왔다는 평가를 받았다.
한편 한국사 연구 활동과 더불어, 부친에게 교육받은 유불선 합일사상을 기억해 한국역사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쳐 온 불교의 정치적ㆍ사회적ㆍ신앙적 측면에도 관심을 기울여 『불교신문』, 『불광』 등에 관련 글을 써 왔다. 특히 대승불교가 지향하는 ‘평등ㆍ’‘평화’ㆍ‘인권’ 이념과 ‘중생 제도’라는 실천운동은 지은이의 역사관에 일정하게 반영되었다.
저서로는 『한국사 이야기』(전 22권), 『인물로 읽는 한국사』(전 10권), 『한 권으로 읽는 한국사』, 『동학농민전쟁 인물열전』, 『전봉준, 혁명의 기록』, 『허균의 생각』, 『위대한 봄을 만났다』, 『민란의 시대』, 『이이화의 명승열전』 등 다수가 있다.

 

<목차>

 

머리말. 오늘날 한국불교는 어떤 과제를 안고 어디로 가야 하는가

제1부. 불교의 전래
1. 불교의 첫 전래, 고구려
2. 왕즉불사상과의 접목
3. 고구려불교와 도교의 충돌
4. 백제의 불교 수용
5. 백제의 미륵불은 국가 수호신
6. 뒤늦게 전래된 신라불교
7. 죽음으로 얻은 불법 공인
8. 남방불교의 요람, 가야

제2부. 화려한 신라의 불교사상
9. 신라 진호불교의 기반
10. 당당히 떠나는 신라의 유학승
11. 원효와 의상의 시대
12. 실천적 포교승, 의상
13. 민중 속으로 퍼진 정토?약사?관음신앙

제3부. 갈등과 새 바람
14. 타락하는 승려, 뒤로 부는 새 바람
15. 선문을 일으킨 선각자들
16. 구산선문 일어나 새 선풍 불다
17. 미륵 현세를 열망한 민중

제4부. 불교정치술
18. 신비에 싸인 도선과 풍수설
19. 궁예와 미륵 세력의 결합
20. 진훤의 불교 세력 이용
21. 다양한 사상을 수용한 왕건
22. 불교는 나라와 임금을 지켜야 한다

제5부. 반성하는 불교
23. 불법과 충돌하는 유학
24. 승려들이 장사를 벌이다
25. 의천과 천태종의 창종
26. 사원 토지의 확대와 지눌의 출현
27. 한뜻으로 전진하는 결사운동
28. 참수행 피우는 백련결사

제6부. 팔만대장경의 힘
29. 바야흐로 맞은 압박과 비애의 시대
30. 화려한 고려문화, 고려미술
31. 불탑의 변화와 불경 인쇄
32. 빛나는 민족유산, 팔만대장경의 조성

제7부. 불교와 성리학
33. 불교의 침체와 성리학자의 부상
34. 왕사 보우와 신돈의 개혁 정치
35. 신돈의 죽음, 이단론의 등장

제8부. 불교는 이단이다
36. 부처는 정신계의 주인이 아니다
37. 극렬해진 불교 이단 논쟁
38. 고려불교가 길들인 생활문화
39. 무학과 이성계의 만남

제9부. 불교정책의 이중성
40. 궁중불교와 유불선 합일사상
41. 세종 불교정책의 겉과 속
42. 세조가 편 불교진흥정책
43. 본격적인 불교 압제의 시작
44. 연산군과 중종 시기의 소용돌이
45. 문정왕후의 승과 부활

제10부. 호국불교와 민중불교
46. 조일전쟁과 호국불교의 전통
47. 조일전쟁?조청전쟁 뒤의 사정
48. 조선 후기 민중불교의 확산
49. 불안한 사회의 변혁 세력이 되다
50. 위경의 등장과 원당 금지

제11부. 승려의 자유와 실천
51. 정조의 타협적 불교정책
52. 탄압받는 서학·동학, 자생하는 불교
53. 개화운동과 승려의 현실 참여
54. 이동인과 탁정식의 죽음
55. 친일불교와 새로운 시련

제12부. 식민지 시기 불교와 해방 이후의 불교
56. 식민지 초기 불교의 친일화 과정
57. 민족불교와 친일불교의 갈등
58. 해방 뒤 비구-대처의 분쟁
59. 오늘날의 한국불교

주요 참고문헌
도판 출처

별지. 연표로 보는 한국불교사

불광출판사 서울국제불교박람회 온라인 전용 전시관 입니다. 불광출판사
서울 종로구 사직로10길 17 (내자동, 인왕빌딩) 301호
류지호
Tel : 02-420-3200
E-mail : k0091@hanmail.net
http://www.bulkwang.co.kr/
Copyright (c) BEXPO.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