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박람회
  • Facebook
  • Instagram
  • Youtube
붓다아트페어
  • Facebook
  • Instagram

철학자의 불교 공부 노트

| 지지엔즈(冀劍制) 지음 / 김진무 ․ 류화송 옮김 |
| 신국판 변형 (148*210) | 320쪽 | 무선 | 불광출판사 |
| 2022년 4월 25일 출간 | 가격 18,000원 |
| ISBN 978-89-7479-117-9 (03100) |

18,000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

좋아요

상세정보

철학자의 불교 공부 노트

 

 

의심 없이 믿는 거, 난 반댈세!

사고(思考) 없이는 불교를 믿을 수 없다고 말하는 철학자

 

 

이 책의 저자 지지엔즈(冀劍制)는 철학과 교수다. 미국 뉴욕주립대학교에서 서양 철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고 대만으로 다시 넘어와 화판대학 철학과에 자리 잡았다. 그런데 화판(華梵)대학교는 유교와 불교에서 공히 중시하는 깨달음의 교육을 지향하는 학교였다. 이곳에서 본격적으로 불교를 만난 저자는 예의 철학자의 입장에서 불교에 대해 파고들어 가기 시작한다. 그는 철학자답게 사고(思考)’의심을 불교 공부의 기초로 삼았다. 그는 우선 윤회나 정토 같은 신앙에 속한 문제들은 한켠에 놓아두었다. 비록 양자역학이나 시간의 불가역성(不可逆)에 대한 반론 등을 언급하며 최근의 과학 연구 성과들이 우리가 믿기 힘들어하는 것들에 대해 다시 생각할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나 아직 엄밀한 과학적 견지에서 완벽하게 증명하고 있지 못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대신 그는 불교의 목적인 이고득락(離苦得樂)’과 깨달음의 실천에 주목했다. 인생이 고통이라는 진리와 그걸 극복하기 위해 삼독(三毒, 탐욕·분노·어리석음)을 제거해 나가는 수행, 그리고 마침내 무아(無我)를 체득해 궁극의 경지에 올라가는 길이 우리가 불교를 공부해야 하는 가장 합목적적인 이유라고 본 것이다.

이를 추구해 나가는 과정 역시 철학자다웠다. 기존의 세계관에 대한 의심과 파괴를 통해 새로운 세계관에 접근하는 길을 선택했다. 그는 여전히 자신은 불교신자가 아니다라고 말한다. 하지만 스스로 합리적이라고 생각하는 탐구와 추리를 통해 하나의 결론에 도달한다. 바로 삶의 고민을 털어내고 싶다면 인생에서 꼭 한 번은 불교를 만나라.”는 것이다.

 

 

저자가 말하는 불교의 닮은 점, 다른 점

 

흔히 사람들은 불교가 철학이 아니냐고 질문한다. 저자는 같지는 않지만 닮은 점은 있다고 말한다.

둘 사이에 공통점 중에는 다른 학문 분야에는 없는 것이 하나 있다. 바로 양자 모두 지식에 대해서는 건설적이기보다는 파괴적이라는 것이다. 철학과 불교 공히 기존 지식이 무엇이 잘못되었는지에 대해 초점을 맞춘다. 철학이든 불교든 모두 사람들이 여러 가지 잘못된 지식을 가지고 있고, 또 그것들을 온힘을 다해 찾아내서 없애야 한다고 여긴다. 불교에서는 이런 잘못된 지식에 빠져 있는 상태를 무명(無明)’이라고 정의하고 그걸 없애는 방법으로 정견(正見)’을 제시한다.

잘못을 찾아내는 방법 역시 비슷하다. 깊고 근본적인 사유를 통해 불안정과 불확실을 찾아가고 심지어는 아예 텅 빈 것임을 발견한다. 이를 통해 기존 관념에 대해 회의적이거나 부정적인 생각을 갖게 하게 이른다.

하지만 그 길에서 양자는 또 다른 것이 되어간다. 철학은 보통 사고를 통해서만 잘못을 없애고, 아울러 가능한 한 다시 사고를 통해서 더 합리적인 해답을 제시한다. 그러나 영원히 종점에 도달하지 못할 수도 있고, 끊임없이 더 합리적인 해답을 찾기만 할 수도 있다. 불교는 사고를 통해서 잘못을 없애는 것 이외에 자신의 내면을 변화시키는 수행을 통해서 최종적인 해답을 직관(直觀)하여 얻는다. 양자가 가장 다른 점은 바로 여기에 있다.

또 철학은 논리를 의심해서는 안 되고,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님을 의심해서는 안 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철학적 사고는 논리 법칙을 기초로 한다. 예컨대 철학에서는 모순된 서술은 분명히 틀린 것이다.”라고 한다. 그러나 불교는 적어도 언어의 사용에 있어서는 논리에 국한되지 않으며, 심지어는 늘 모순된 서술이 나타난다. 예컨대, 불교는 모든 고통은 어리석음[無明]에서 나온다.”라고 주장하고, 바로 이어서 또 무명이 없다.[無無明]”라고 말한다. 이처럼 불교를 배우는 사람들은 반드시 언어의 모순 속에서 지혜를 여는 계기를 찾아야 한다고 저자는 말한다.

지혜를 향상시키면 잘못된 관점에서 비롯된 이러한 모순을 발견하게 되고, 아울러 이러한 관점을 타파할 수 있다. 그리고 관점을 타파한 뒤에도 논리가 옳은 것이라고 표현하지 않고, 직관하는 가운데 논리 밖의 무언가 형언할 수 없는 것을 잡아내야 한다. 저자는 이것이 불교에서 말하는 공성(空性)’이라고 주장한다. 이미 모든 것이 다 비었으니 논리도 텅 빈 것이고, 전적으로 의존할 수 없는 것이라고 표현하였다.

 

자신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을 위한 불교 강의

 

이 책은 교리를 다룬 상편과 수행을 다룬 하편으로 나눠진다.

교리를 다룬 상편에서는 불교에서 말하는 세 가지 번뇌(··)와 삼법인(무상··무아) 등에 대해서 다루고, 수행을 다룬 하편에서는 좌선, 정념, 염불 등 수행에 대해서 다룬다.

딱 보면 여느 불교 입문서와 다르지 않다. 하지만 저자는 철학을 연구하면서 체득한 논리적 사고와 정의 내리는 방법을 활용해 불교를 설명한다.

여기에 더해 저자는 불교에서 말하는 무상(無常), (), 무아(無我)를 좀 더 진지하게 탐구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우리에게 익숙한 철학자들을 등장시키고 그들의 철학 이론을 소개한다. 칼 포퍼의 반증주의, 데이비드 흄의 회의주의, 칸트의 순수이성비판과 실천이성비판, 하이데거의 현상학, 유가의 중용지도, 장자의 대자재(大自在), 송나라의 명리학 같은 동서양의 철학 사상 등은 불교를 이해하는 좋은 수단이었다.

불교의 이론 중 미신으로만 취급되는 부분을 반박하기 위해서 칼 포퍼의 반증주의적지혜에 대해 살펴보고, 불교에서 말하는 무아(無我)에 대해 살펴보면서 데이비드 흄이 문제를 제기했던 자아에 대한 의심에 대해 살펴보기도 한다. 또 불교에서 흔히 쓰이는 말인 발심(發心)의 본질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칸트가 제기했던 도덕실천을 살펴보기도 한다.

하지만 어려운 철학과 어려운 불교가 만나 난해할 것만 같은 이 책은 가장 쉬운 불교 입문서가 되었다. 저자 자신이 처음 불교를 접했을 때 느꼈던 너무 쉽거나 난해하거나, 즉 너무 뻔한 이야기이거나 도통 이해할 수 없는 뜬구름 잡는 소리에 대한 불만의 기억이 있었기 때문이다. 가장 쉬운 말과 이해하기 쉬운 비유, 이것이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이다.

 

 

지은이

 

지지엔즈(冀劍制)

미국 뉴욕주립대학교 버팔로캠퍼스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는 대만 화판(華梵)대학교 철학과 교수 겸 불교대학원장을 역임하고 있다. 불교학과 철학의 대화, 기쁨의 철학, 비판적사고, 지식론, 마음 철학, 과학 철학 등을 강의한다. 저서로 해적왕의 철학 수업, 틀리지도 맞지도않은 40가지 생각, 논리 오류 감식반, 우리 아이의 논리적 사고력을 키워주는 스토리텔링, 마음의 폭풍: 현대 서방의 의식철학 및 개념 혁명등이 있다.

 

 

옮긴이

 

김진무

동국대 선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동산법문과 그 선사상 연구로 석사 학위를, 중국 남경대학 철학과에서 佛學與玄學關係硏究(中文)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저서로 중국불교사상사, 중국불교의 거사들등이 있으며, 공저로 , 버릴 것인가 찾을 것인가, 근대 동아시아의 불교학, 동아시아 불교, 근대와의 만남, 불교의 마음챙김과 사상의학등이 있고, 번역서로 선학과 현학, 선과 노장, 분등선, 조사선, 지장』 Ⅰ·, 혜능 육조단경, 불교명상, 도해 금강경(공역) 도해 운명을 바꾸는 법(공역) 등이 있다.

 

류화송

충남대 한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가차문자연구로 석사 학위를, 중국 남경대학 중문과에서 朱熹詩集傳注釋詩通假字硏究(中文)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번역서로 조선불교통사1~8(공역), 불교와 유학(공역), 도해 금강경(공역) 도해 운명을 바꾸는 법(공역) 등이 있다.

 

목차

 

상편

이고득락(離苦得樂)의 사색(思索)

 

01 누가 불교를 배워야 할까?

02 인생은 본래 고통이라는 비관주의

03 인생은 즐거움보다 고통이 더 많다는 것은 사실인가?

04 ‘이고득락(離苦得樂)’의 의의

05 영혼과 윤회를 믿을 수 있을까?

06 ‘이고득락은 탐욕[분노[어리석음[]을 없애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07 탐욕·분노·어리석음이 어째서 고통의 근원인가?

08 탐욕을 살피고 탐욕을 풀어라

09 분노를 보고 분노를 풀어라

10 어리석음을 보고 어리석음을 없애라

11 무아(無我)란 무엇인가?

12 일체개공(一切皆空)이란 무엇인가?

13 무엇을 색즉시공, 공즉시색이라고 하는가?

14 무엇을 오도(悟道)’라고 하는가?

15 깨달음의 기준

 

하편

이고득락(離苦得樂)의 수행(修行)

 

01 수행과 신비한 체험

02 ‘허무감의미감을 수행의 지표(指標)로 삼다

03 자비심 수행

04 발심(發心)과 도덕실천

05 무상(無常)의 세계관 수행

06 좌선 수행

07 철학의 실천 VS. 불교의 수행

08 업력(業力)의 수행

09 일념심(一念心) 수행

10 정념(正念) 수행

11 지혜의 수행

12 염불(念佛) 수행

13 외왕(外王) 수행

 

 

 

 
불광출판사 서울국제불교박람회 온라인 전용 전시관 입니다. 불광출판사
서울 종로구 사직로10길 17 (내자동, 인왕빌딩) 301호
류지호
Tel : 02-420-3200
E-mail : k0091@hanmail.net
http://www.bulkwang.co.kr/
Copyright (c) BEXPO.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