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박람회
  • Facebook
  • Instagram
  • Youtube
붓다아트페어
  • Facebook
  • Instagram

조선시대 왕실발원 불상의 연구

판형 신국판 (150×225mm)|두께 48mm | 1,000쪽|값 80,000원
발행일 2022년 8월 11일 | 분야 불교 학술 | ISBN 979-11-92476-13-1 (93220)

80,000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

좋아요

상세정보

책 소개

 

“913일이 탄신일이신 주상전하 갑술생 이씨[영조] 보체께서는 계계승승 이어지며 수명이 만세를 누리시길 바라옵고, 12월 초이레가 탄신일이신 왕비전하 임신생 서씨[정성왕후] 보체께서는 수명이 나란히 주상과 같으시기를 바라오며, 정월 21일이 탄신일이신 세자저하 을묘생 이씨[사도세자] 보체께서는 오래오래 수명이 천추(千秋)를 누리시길 바라옵니다.”

 

삶과 죽음, 희망과 절망

조선의 왕실발원 불상에서

인간의 드라마를 읽어낸다

 

조선시대는 흔히 국가적인 억불숭유(抑佛崇儒) 정책으로 인해 불교가 침체되었던 시기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그 이면에서 조선 왕실은 왕실 인물의 생전 안녕과 사후 극락왕생을 염원하며 여러 불상을 조성했다.

조선 왕실은 불상불화범종의 조성, 경전 간행, 불전 건립을 지속적으로 후원했다. 왕과 왕비 그리고 후궁 등이 직접적으로 사찰 불사에 동참한 경우도 있고, 왕자와 공주 및 그 배우자가 참여한 사례도 있다. 이 외에 왕실의 종친, 왕실과 사찰 간의 매개자 역할을 했던 상궁의 동참도 눈에 띈다.

이 책은 왕실 발원으로 조성된 불상의 복장(腹藏) 유물 및 여러 관련 문헌에 대한 정밀한 분석을 통해 조선시대 왕실발원 불상에 얽힌 이야기들을 풀어낸다.

이 책의 1부는 조선시대 왕실 발원 불상에 대한 총론이다. 조선시대를 조선 전반기(1392-1608), 조선 후반기 제1(1609-1724), 조선 후반기 제2( 1725-1910)의 세 시기로 나누어, 조선시대 왕실 발원 불상의 전반적인 흐름을 개관한다.

이 책의 2부는 저자가 직접 참가한 왕실 발원 불상 복장 조사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2부의 각 장은 강릉 보현사 목조문수보살좌상, 오대산 상원사 문수전 목조제석천상,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 완주 송광사 소조석가여래삼불상, 봉원사 명부전 존상, 서울 옥수동 미타사 아미타삼존불좌상, 오대산 상원사 영산전 존상, 흥천사 노전 석조약사여래좌상, 그리고 화계사 불교미술을 차례로 살펴보면서 조선 왕실과 불교의 관계를 흥미롭게 규명한다.

이 책은 왕실 발원 불상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하여 필자의 전작인 조선시대 불상의 복장기록 연구를 확장시킨 것이다. 사람들의 삶과 밀접하게 소통한 조선 불교의 모습이 이 책의 풍부한 자료와 다채로운 사진을 통해 경이롭게 펼쳐진다.

 

 

저자 소개

 

유근자

 

덕성여자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한 후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사단법인 한국미술사연구소 연구원을 역임했다. 현재 동국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부 불교미술 전공 강의초빙교수로 재직 중이며, 강원도경기도 문화재전문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한편, 조선시대 불상의 복장 기록과 부처님의 생애를 표현한 간다라 불전미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저서로 조선시대 불상의 복장기록 연구가 있고, 공동 저서로 간다라에서 만난 부처치유하는 붓다가 있다.

 

 

 

 

목차

 

화보로 보는 조선시대 왕실발원 불상 4

일러두기 14

발간사 24

머리말 27

 

 

 

1. 조선시대 왕실 발원 불상의 시대 구분

 

 

1. 조선 전반기(1392-1608) 왕실 발원 불상

 

1. 머리말

2. 보령 금강암 석조미륵보살상

3. 대구 파계사 건칠관음보살좌상

4. 견성암 약사삼존상

5. 영주 흑석사 목조아미타불상

6.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상

7. 경주 왕룡사원 아미타불상

8. 합천 해인사 법보전과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상 중수

9. 김제 금산사 오층석탑 불상군

10. 남양주 수종사 불상군

11. 맺음말

 

 

2. 조선 후반기 제1(1609-1724) 왕실 발원 불상

 

1. 머리말

2. 서울 지장암 비로자나불상,

칠보사 석가불상, 선찰사 석가불상

3. 남양주 수종사 불상군

4.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상

5. 완주 송광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

6. 오대산 상원사 목조제석천상 중수

7. 서울 봉은사 석가여래삼불좌상

8. 순천 송광사 관음보살상과 석가불상

9. 구례 화엄사 각황전 불상

10. 서울 봉원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과 시왕상

11. 서울 옥수동 미타사 아미타불상

12. 맺음말

 

 

3. 조선 후반기 제2(1725-1910) 왕실 발원 불상

 

1. 머리말

2. 대구 파계사 건칠관음보살상 중수

3. 남양주 불암사 목조석가불상 중수

4. 서울 사자암 목조아미타불상 중수

5. 서울 봉은사 목조사천왕상

6. 보은 법주사 소조비로자나삼신불상 중수

7. 인제 백담사 목조아미타불상

8. 서울 옥수동 미타사 관음보살상

9. 화성 용주사 목조석가여래삼불상

10. 서울 미타사 금보암 금동관음보살좌상 중수

11. 서울 흥천사 약사불상

12. 맺음말

 

 

 

2. 조선시대 왕실 발원 불상의

복장 유물과 조성·중수발원문의 분석

 

 

1장 강릉 보현사 목조문수보살좌상의

복장 유물과 중수발원문의 분석

 

1. 머리말

2. 보현사 목조문수보살좌상의 현상 및 특징

3. 보현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복장 유물

4. 보현사 목조문수보살좌상의 중수발원문 분석

5. 맺음말

 

 

2. 오대산 상원사 문수전 목조제석천상

 

1. 머리말

2. 오대산 신앙과 불교 존상

3. 상원사 목조제석천상의 복장 유물 분석

4. 상원사 목조제석천상의 중수발원문 분석

5. 상원사 목조제석천상의 양식 특징과 편년

6. 맺음말

 

 

3.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의

조성기 施主秩분석

 

1. 머리말 580

2.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의

施主秩구성과 내용

3.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의 施主秩분석

4.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의 제작 시기

5. 맺음말

 

 

4. 완주 송광사 소조석가여래삼불상의 조성과

벽암 각성(碧巖覺性)

 

1. 머리말

2. 청량산 원암사의 화재와 완주 송광사의 중창

3. <송광사개창비>(1636)

<안심사사적비>(1759)로 본 17세기의 완주 송광사

4. 조선 왕실 인물과 완주 송광사의 17세기 불사

5. 17세기 완주 송광사의 불사와 벽암 각성의 역할

6. 맺음말

 

 

5. 봉원사 명부전 존상(1704)

복장 유물과 발원문 분석

 

1. 머리말

2. 봉원사 명부전 존상의 복장 유물

3. 봉원사 명부전 존상의 조성발원문 분석

4. 봉원사 명부전 존상의 이운(移運)

5. 맺음말 721

 

 

6. 서울 옥수동 미타사 아미타삼존불좌상의

복장 유물 분석과 양식 특징

 

1. 머리말

2. 미타사 아미타삼존불좌상의 복장 유물 현황

3. 미타사 아미타삼존불좌상의 복장 기록 분석

4. 미타사 아미타삼존불좌상의 양식 특징과 편년

5. 맺음말

 

 

7. 오대산 상원사 영산전 존상의 복장 기록 분석

 

1. 머리말

2. 오대산 상원사와 나한신앙

3. 상원사 영산전 존상의 복장 기록

4. 상원사 영산전 존상의 복장기록 분석

5. 맺음말

 

 

8. 흥천사 노전 석조약사여래좌상과 순원왕후

 

1. 머리말

2. 흥천사 노전 석조약사여래상의 복장 유물

3. 순원왕후 발원 흥천사 석조약사여래상의 도상

4. 맺음말

 

 

9. 화계사 불교미술의 성격과 시주자

 

1. 머리말

2. 화계사 불교미술과 왕실의 관계

3. 화계사 명부전의 불교미술

4. 화계사 불교공예의 성격

5. 화계사 대웅전 삼존불상의 존명

6. 화계사 불교회화의 조성과 이동

7. 맺음말

 

맺음말: 복장 기록으로 보는 조선 왕실 발원 불상 연구

참고문헌

 

 

 

저자의 말

 

조선시대 왕실과 관련된 불상들은 생전의 병 치유 및 사후의 천도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병을 치유하는 것은 약사신앙 및 관음신앙과 주로 연관되었고, 사후의 명복을 기원하는 것은 아미타신앙과 관련되어 있었다. 특히 세조와 단종, 광해군과 영창대군, 인조와 소현세자 사이에 벌어진 왕실의 권력 싸움이나, 영조 시대의 당쟁에서 비롯된 사도세자의 죽음과 같은 비극적인 사건은 사찰과 왕실의 관계를 긴밀하게 하였다. 이러한 사건이 일어난 뒤, 패배한 쪽에서는 불교로 위안을 받고자 불상을 조성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 ‘머리말중에서

 
불광출판사 서울국제불교박람회 온라인 전용 전시관 입니다. 불광출판사
서울 종로구 사직로10길 17 (내자동, 인왕빌딩) 301호
류지호
Tel : 02-420-3200
E-mail : k0091@hanmail.net
http://www.bulkwang.co.kr/
Copyright (c) BEXPO. All Rights Reserved.